All About Makers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All About Makers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55)
    • Unity Basic (19)
      • 01. Unity 설치, 화면구성 (4)
      • 02. Unity Components (3)
      • 03. Unity C# script basic (11)
      • 04. Unity Basic 마무리 (1)
    • Unity Beginner (10)
    • Unity Minigame Project (11)
      • 01. 붕어빵게임만들기 (11)
    • Pixel Art (9)

검색 레이어

All About Makers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Unity Basic

  • Unity Basic ch. 19] 함수 주기

    2020.05.04 by allma

  • Unity Basic ch. 18] C#Script__Input.GetAxisRaw

    2020.05.04 by allma

  • Unity Basic ch. 17] C#Script__ Input.GetKeyDown

    2020.05.04 by allma

  • Unity Basic ch. 16] C#Script 감지 RaycastHit2D

    2020.05.04 by allma

  • Unity Basic ch. 15] C#Script 로 Collider 제어하기

    2020.05.04 by allma

  • Unity Basic ch. 14] C#Script로 제어하기 Rigidbody 2D_Addforce

    2020.05.04 by allma

  • Unity Basic ch. 13] C#Script로 제어하기 Rigidbody 2D_Velocity

    2020.05.04 by allma

  • Unity Basic ch. 12] Sprite Renderer를 C#Script로 제어하기

    2020.05.04 by allma

Unity Basic ch. 19] 함수 주기

Unity가 스크립트 수명 동안 이벤트를 주문하고 방법하는 방법이 있다. https://docs.unity3d.com/Manual/ExecutionOrder.html Unity - Manual: Order of Execution for Event Functions Understanding Automatic Memory Management Order of Execution for Event Functions Running a Unity script executes a number of event functions in a predetermined order. This page describes those event functions and explains how they fit into the execut..

Unity Basic/04. Unity Basic 마무리 2020. 5. 4. 22:58

Unity Basic ch. 18] C#Script__Input.GetAxisRaw

키보드를 눌렀을대 방향을 이동하려면 아래와 같이 사용했다. transform.right transform.up transform.forward 그런데, 좌우를 한 문자로 해결할 수 있는 예약어가 있다. 좌우=> Horizontal 상하=> Vertical 1) Input.GetAxisRaw("Horizontal") Input.GetAxisRaw("Horizontal") 위와 같이 설정하면 왼쪽 방향키를 눌렀을때는 -1을 반환하고 오른쪽 방향키를 눌렀을때 1을 반환한다. 디버그로그를 통해서 좌우 키를 눌렀을때 -1,1값을 반환하는지 알아보자. =================== public class PlayerMove : MonoBehaviour { void Start() { } void Update()..

Unity Basic/03. Unity C# script basic 2020. 5. 4. 22:45

Unity Basic ch. 17] C#Script__ Input.GetKeyDown

게임은 기본적으로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하는데, 이번 장에서는 마우스와 키보드로 플레이어를 제어할 수 있는 스크립트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1) Input.GetKeyDown( 키코드) 키코드의 버튼이 눌렀는지 가져오는 구문이다. 여기에서 키코드는 유니티에서 제공해주는 문서를 참고하면 되겠다. https://docs.unity3d.com/ScriptReference/KeyCode.html 기본적으로 방향 키에 대해서 살펴보자. **방향키 키코드 UpArrow DownArrow RightArrow LeftArrow 그렇다면 구체적인 예를 통해서 어떻게 스크립팅하는지 살펴보자. 만약에 위로 방향키를 누르면 위 화살표를 눌렀다고 메세지를 띄우는 코딩을 해보자. ----------------- 만약. 입력.키를눌렀..

Unity Basic/03. Unity C# script basic 2020. 5. 4. 22:42

Unity Basic ch. 16] C#Script 감지 RaycastHit2D

Collision을 통해 충돌을 감지했는데, 게임을 만들면서 충돌 하지 않았어도, 앞에 있는 물체를 미리 감지해야할때가 있다. 그럴때 사용하는것이 RyacastHit이다. 먼저 게임오브젝트에서 레이를 눈에 보이게 그려보자. 1) Debug.DrawRay() ------------------- 레이그리기(지금위치에서, 벡터값만큼, 색깔) => Debug.DrawRay(transform.position,new Vector3(1,0,0), new Color(0,1,0)); ------------------- 보통 ray는 초록색으로 그린다. new Color(0,1,0)=초록색 화면에 보이게 그려보자. ============ public class PlayerMove : MonoBehaviour { void ..

Unity Basic/03. Unity C# script basic 2020. 5. 4. 22:41

Unity Basic ch. 15] C#Script 로 Collider 제어하기

Collider는 속성 자체를 제어하기보다 충돌했을때 감지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1) OnCollision 이벤트 void OnCollisionEnter2D(Collision2D coll) : 충돌 발생 void OnCollisionStay2D(Collision2D coll) : 충돌 유지 void OnCollisionExit2D(Collision2D coll) : 충돌 빠져나갔을때 ----------------------- 충돌발생했을때( 충돌체 정보) => void OnCollisionEnter2D(Collision2D coll) ----------------------- 충돌이 발생했을때 충돌이 발생했다는 메세지를 띄우고, 충돌 발생한 게임오브젝트의 이름을 가져와보자 ============== p..

Unity Basic/03. Unity C# script basic 2020. 5. 4. 22:39

Unity Basic ch. 14] C#Script로 제어하기 Rigidbody 2D_Addforce

AddForce는 많은 버전이 있는데, 제일 많이 사용하는걸로 살펴보자. 1) AddForce ------------------------------- 컴포넌트이름.AddForce (벡터, 포스모드) => rigid.AddForce(new Vector3(1,0,0), ForceMode2D.Impulse) ------------------------------- ================== public class PlayerMove : MonoBehaviour { public Rigidbody2D rigid; void Start() { rigid = GetComponent(); } void FixedUpdate() { rigid.AddForce(new Vector3(1,0,0), ForceMode2D..

Unity Basic/03. Unity C# script basic 2020. 5. 4. 22:35

Unity Basic ch. 13] C#Script로 제어하기 Rigidbody 2D_Velocity

rigidbody(강체)에 대해서는 컴포넌트를 추가하면 기본적으로 중력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Info에 펼침단추를 눌러보면 Position, Rotation, Velocity 등등을 가지고 있다. 1) Velocity 여기에서 스크립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요소는 Velocity이다. Velocity는 속도라는 뜻으로, 속도는 속력에 위치값을 갖는 것이 속도이다. 위치는 벡터 값이라 할수 있고(new Vector3), 속력은 스칼라 값이다. 예를 들어, (1,0,0)이라는 벡터가 있고, 속력이 10이라하자. 그러면 이에 대한 속도는 x=1방향은 x,y좌표만 보면 오른쪽 방향이고, 속력이 10이면 이에 따른 속도는 오른쪽 방향으로 10만큼이다.. 일단 이해가 안가면 넘어가도록 하자. 게임오브젝트에 속..

Unity Basic/03. Unity C# script basic 2020. 5. 4. 22:34

Unity Basic ch. 12] Sprite Renderer를 C#Script로 제어하기

Sprite Renderer를 제어해보자. 여기에서는 스프라이트 렌더러 선언, 초기화/활성화,비활성화/Flip/Color를 스크립트에서 설정해보자. 1) Sprite Renderer component 사용하기 위한 선언,초기화 여기에서 Sprite Renderer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컴포넌트를 선언하고, 초기화 해줘야 사용할 수 있다. ------------------------------ public SpriteRenderer renderer; // 스프라이트 렌더러 선언 renderer = GetComponent(); // 게임오브젝트의 스프라이트 렌더러 컴포넌트 가져오기 ------------------------------ 선언, 초기화를 해야 사용할 수 있다. 초기화는 void Start()구문..

Unity Basic/03. Unity C# script basic 2020. 5. 4. 22:3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TISTORY
All About Makers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